s s

한국은 세상에서 가장 실력중심+인맥배척 국가인가요? 물론 한국도 인맥이 중요하죠. 하지만 다른 나라랑 비교해보면 확실히 인맥

2 2 2 2 2

한국은 세상에서 가장 실력중심+인맥배척 국가인가요? 물론 한국도 인맥이 중요하죠. 하지만 다른 나라랑 비교해보면 확실히 인맥

물론 한국도 인맥이 중요하죠. 하지만 다른 나라랑 비교해보면 확실히 인맥 영향이 약해요.한국은 조선시대의 과거시험 문화+평등뽕 민주뽕 맞은 국민들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인맥을 배척하는 경향이 강하잖아요. 정시 100프로라는 해괴한 구호를 내세우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인맥이랑 로비가 힘을 못쓰는 나라가 한국입니다.물론 실력을 빙자한 고루한 요식행위에 집착하는 걸 실력주의와 혼동한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한국 정도면 굉장히 실력주의입니다. 반면 다른 나라는 인맥과 로비의 천국입니다. 옆나라 중국 일본만 가도 그렇고요.서양 동남아는 인맥과 로비가 아주 펄펄 날뜁니다.거긴 인맥이 실력입니다. 인맥으로 취업하고 대학 가고 모든 게 가능합니다. 세계 유일의 과거제 양반 문화(중국도 과거제긴 한데, 거긴 귀족 문화랑 혼합되어서 조선처럼 순수 과거제는 아님) vs 인맥과 네트워크, 혈통,로비를 중시하는 귀족과 상인 문화의 차이 같아요.

cont
image

한국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력 중심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인맥이 배척되는 사회라고 보긴 어려워요. 과거제의 영향으로 학벌과 시험 성적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인맥과 네트워크가 취업이나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도 현실이에요.

정시 100% 같은 구호가 나오는 이유는 공정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강하기 때문인데, 이걸 한국만의 독특한 문화로 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인맥이나 특혜에 대한 반감이 강해서 나온 흐름이에요. 하지만 취업, 승진, 사업 같은 분야에서는 여전히 인맥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서류와 시험으로만 모든 게 결정되는 시스템이 완벽하다고 보긴 어려워요.

반면 서양이나 동남아가 인맥과 로비로만 돌아간다고 단순하게 보기엔 무리가 있어요. 미국, 유럽도 능력주의가 강조되는 분야가 많고, 기업이나 연구소에서는 실력을 중시하는 곳이 많아요. 물론 인맥이 중요한 경우도 있지만, 이는 한국에서도 마찬가지예요.

결국 한국이 실력주의적인 요소가 강한 건 맞지만, 인맥이 배제된 나라는 아니고, 모든 나라가 저마다의 방식으로 실력과 인맥을 적절히 활용하는 구조라고 보는 게 더 정확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