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s
>> 글 이어보기 <<
신용카드 상품권 안녕하세요급전이 급하게 필요한데신용카드로 상품권 구매 후 다시 되팔 수 있나요?환불이
C타입 이어폰 이 자동으로 음량이 조절되요 C타입 이어폰을 핸드폰에 꽂으면 스스로 계속 음량이 내려갔다 올라갔다 합니다
인하공전 항공경영학과 면접 준비 고3 입니다 그동안 꿈이 없어서 학교를 게을리 다닌 탓에성적은 1학년때
외국인 건강보험료 안녕하세요. 저는 외국인이고 7월까지 알바다니면서 알바했던곳에서 8월까지의 건강보험료를 냈고, 9월부터는
호텔리어 관련 호텔리어가 되고 싶은 학생입니다!!그래서 호텔리어 관련 질문이 있어요1.고등학교를 호텔관광쪽으로 가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8 #3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3 #56 #58 #60 #62 #63 #67 #68 #70

일본의 경우도 과거 수레(바퀴)를 많이 이용하지 않았나요? 흔히 조선을 비판하는 주요 근거로 자주 등장하는게, 조선은 수레(바퀴)를 잘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일본의 경우도 과거 수레(바퀴)를 많이 이용하지 않았나요? 흔히 조선을 비판하는 주요 근거로 자주 등장하는게, 조선은 수레(바퀴)를 잘
흔히 조선을 비판하는 주요 근거로 자주 등장하는게, 조선은 수레(바퀴)를 잘 이용하지 않았으니 문명의 후진 정도가 상당하다는 점입니다.다만 이와 관련한 반박이 흥미로운데 한반도의 경우 산지 지형이 70프로 가까이 돼서 수레가 효율적이지 못했고, 대신 강을 이용한 수운이 나쁘지 않게 발달했다는 점입니다.한가지 궁금한건 한국보다 더 산지 비율이 높은 나라가 일본인데, 그럼 일본의 경우도 수레가 많이 발달하지 못했나요?에도시대 수운을 이용한 운송을 자주 한건 아는데 전근대의 일본에서도 산지가 많아 수레가 비효율적이라 판단해 수레를 잘 안썼는지 궁금합니다. cont image
조선의 수레 사용에 대한 비판과 관련해, 일본의 사례를 함께 비교하신 시각이 정말 인상 깊어요. 이 주제는 단순히 바퀴를 썼느냐 안 썼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각 나라의 지형, 사회 구조, 교통망의 차이를 함께 살펴봐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일본도 조선과 마찬가지로 전근대 사회에서 수레 사용이 활발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지형적 조건
일본은 국토의 약 75%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수레 운반이 비효율적인 환경이었습니다. 험하고 좁은 길이 많다 보니, 바퀴를 이용한 운송보다는 인력이나 동물을 활용한 이동이 중심이었고, 수레가 널리 퍼지기 어려웠습니다.
2) 도로 기반 부족
수레를 활용하려면 바퀴가 제대로 굴러갈 수 있는 평탄하고 넓은 도로가 필요하지만, 일본도 조선과 마찬가지로 포장도로나 내륙 기반 교통 인프라가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수레보다는 도보, 말, 가마 등 다른 방식이 더 일반적이었습니다.
3) 수운 중심 운송 체계
일본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해운과 수로 운송이 발달했습니다. 에도 시대에는 에도(지금의 도쿄)와 오사카를 잇는 해상 운송이 매우 활발했고, 강이나 운하를 통한 수송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조선이 한강, 낙동강 등 수로를 이용한 수운을 발달시킨 것과 유사한 구조입니다.
4) 사회적 요인
에도 시대의 일본은 계급과 신분이 엄격히 구분된 사회였고, 이동에도 많은 제약이 따랐습니다. 주요 도로에서는 무사나 상류층은 가마를 이용했고, 일반 백성은 짐꾼이나 말을 통해 물자를 나르는 방식이 보편적이었습니다.
즉, 일본 역시 수레 사용이 활발하지 않았던 것은 조선과 마찬가지로 지형적, 사회적, 경제적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조선이 수레를 널리 쓰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문명 후진성을 단정 짓는 시각은 너무 단편적일 수 있고, 같은 조건의 일본도 유사한 선택을 했다는 점에서 균형 잡힌 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