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s
>> 글 이어보기 <<
고2 수포자 제가 중1때 수학을 아예 놔버려서 기초도 잘 몰라요 그래서 지금부터
아고다 체크카드 결제 취소 아고다 홈페이지에서 해외숙소 예약을 했는데요체크카드로 결제하고 실질적으로 돈은 안빠져나갔지만 나갔다고
07년생 숙소 예약 내년이면 20살 성인이 되는 07년생 학생입니다!새해를 애인과 함께 보내고 싶은데12월
대한항공 수화물 추가 어플에서 기본23kg 무료 인데 캐리어 1개로무게만늘리려고하는데 선택지가 추가수화물 23kg 밖에
영어 독햐 문법 사람들의 이름을 할 때 사람들은 복수니까 peoples’가 맞지 않나요???복수 일때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8 #3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3 #56 #58 #60 #62 #63 #67 #68 #70

지하철 환승통로를 길게 만드는 이유가 뭔가요? 길고 싶어서 길게 만드는건가요? 환승통로가 길면 환승저항 때문에 지하철 타기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지하철 환승통로를 길게 만드는 이유가 뭔가요? 길고 싶어서 길게 만드는건가요? 환승통로가 길면 환승저항 때문에 지하철 타기
길고 싶어서 길게 만드는건가요? 환승통로가 길면 환승저항 때문에 지하철 타기 꺼려지게 만드는데. cont image
ㅎㅎㅎ 저도요. 동감입니다..
지하철 환승 통로 사람도 많은 데 오래 걷기 싫지요.
그래도 마음을 바꿔서 이렇게라도 운동을 하게 되는구나.. 하는쪽으로 생각하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지하철 노선은 동시에 건설 되지 않고 다른 시기에, 다른 건설 주체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나중에 지어지는 노선은 이미 땅속에 자리 잡고 있는 기존 노선이나 상·하수도, 전기, 가스관 등 수많은 시설물을 피해서 터널을 뚫어야 합니다. 이 때문에 두 역을 연결하는 가장 짧은 직선 경로를 포기하고, 기존 시설물들을 우회하는 복잡한 경로를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 지상 역 위치의 불일치 지하철 역은 지상의 주요 건물이나 버스 정류장 등과 연결되기 위해 역 출입구 위치가 중요합니다. 두 개의 역이 지상에서는 수십 미터 떨어져 있어도, 각각의 지상 출입구 위치에 맞춰 역을 건설하다 보면 지하에서는 더 멀리 떨어지게 됩니다. 두 역을 연결하는 환승 통로는 지상에서의 간격과 지하에서의 층수 차이를 모두 고려해서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길이가 길어지는 것입니다.
추가로 지하 통로는 비상시를 대비한 소방 시설, 환기 시스템, 대피로 등의 필수 인프라가 포함됩니다. 두 터널을 너무 가깝게 붙여서 만들면, 터널을 뚫는 과정에서 기존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을 해칠 위험이 있습니다. 지반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거리를 두고 터널을 건설하는 것이 우선시되므로, 환승 통로의 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미래에는 획기적인 교통 수단들이 자꾸 만들어질테니, 지금의 지하철 환승통로는 덜 이용하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