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s
>> 글 이어보기 <<
아이폰 쿠팡 불량 확인 제가 아이폰을 화욜날 사고 두근두근 받어서 이틀뒤에 확인했는데 카메라가...문제가 있는거
Think about... Think about가 주어 역할을 할 때 to 부정사와 동명사 모두
애니 닥터스톤 넷플에서 4기까지 다 봤는데요아직 이야기가 다 안 끝난 채로 마무리
이재명 대통령 되면 어떻게 되나요 이재명이 대통령되면 저희 나라를 공산주의로 바꾸고 중국에 팔아 넘긴다는 소리가
미국시민권자와 미국영주권자가 한국에서 혼인신고 저는 미국영주권을 갖고 있고, 약혼자는 미국시민권자입니다. 한국에서 결혼식만 올리고, 다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8 #3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3 #56 #58 #60 #62 #63 #67 #68 #70

대미외교 정책과 미중 관계 공군사관학교 지망하는 고1입니다! (외고 중국어과입니다)제가 지금 공군사관학교랑 중어중문을 고민하고 있는데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대미외교 정책과 미중 관계 공군사관학교 지망하는 고1입니다! (외고 중국어과입니다)제가 지금 공군사관학교랑 중어중문을 고민하고 있는데
공군사관학교 지망하는 고1입니다! (외고 중국어과입니다)제가 지금 공군사관학교랑 중어중문을 고민하고 있는데 동아리에서 탐구 주제를 정해오라고 하는데 대미외교 정책과 미중 관계로 탐구해보려고 합니다.학교 진로쌤이 국제관계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생기부에서 보여주면 좋을 거 같다고 하셔서 이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는데 이 주제로 책까지 제작해야 됩니다!!1. 그래서 주제가 너무 어렵진 않지만 너무 쉽지도 않고, 자료도 많은 주제였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2. 대미외교 정책이란 무엇인가요??3. 중어중문학과랑 공군사관학교 둘 다 걸쳐져 있는 주제 맞나요?말이 너무 길고 정리가 안되어 있는데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cont image
공군사관학교와 중어중문학과라는 전혀 달라 보이지만, ‘국제관계’라는 공통점으로 연결된 진로를 고민 중이라는 점에서,
**‘대미외교 정책과 미중 관계’**는 꽤 적절한 탐구 주제예요. 질문 주신 순서대로 정리해서 답변 드릴게요!
✅ 1. 주제로 괜찮을까요? (어렵지 않지만 너무 쉽지 않은, 자료 많은 주제)
→ 네, 아주 괜찮은 주제입니다.
시사성, 국제정세, 안보, 외교, 언어 모두 걸쳐 있는 주제로,
대학에서도 국제학·정치외교·중문학·안보학에서 공통으로 다루는 분야예요.
미중 관계는 세계 패권 구도 중심이고, 자료도 뉴스·연구·칼럼 등 풍부해요.
주제 예시:
"대미외교의 변화로 본 한중 외교의 과제"
"미중 패권 경쟁 속 한국의 외교 전략"
"사드 배치 이후 한중미 관계 분석"
"중국의 대미외교 변화와 한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
→ 너무 추상적인 개념보다, **사례 중심(예: 사드, 대만 문제, 무역전쟁 등)**으로 좁히면 자료 찾기도 쉬워요!
✅ 2. 대미외교 정책이란 무엇인가요?
→ ‘대미외교 정책’은 미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대응하는지를 국가 차원에서 결정하는 정책입니다.
국가(예: 한국, 중국, 일본 등)가 미국을 외교적으로 어떻게 대하느냐를 말해요.
예시로는:
동맹 유지 / 갈등 조절 / 무역 협상 / 군사 협력 / 인권 문제 대응 등이 있어요.
특히 한국은 주한미군, 한미동맹, 미중 갈등 속 입장 정리 같은 이슈들이 대미외교 핵심이에요.
✅ 3. 공군사관학교 & 중어중문과 둘 다 연결되나요?
→ 네! 이 주제는 두 진로 모두에 연결됩니다.
진로
어떻게 연결되나요?
공군사관학교
안보·군사 전략 측면에서, 미중 갈등은 동북아 안정과 공군 작전, 동맹 정책에 매우 중요한 이슈예요.
중어중문학과
단순 문학이 아니라, 중국 사회·정치·외교까지 공부하며, 중국의 대미외교는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입니다.
→ 즉, 군사적 시야 + 언어적 시야 둘 다 어필할 수 있는 주제입니다.
✨ 마무리 조언
자료는 외교부·국방연구원·세종연구소·KIEP 같은 곳에서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책 제작까지 한다면, 용어 정리 → 사례 소개 → 시사 분석 → 나만의 결론 구조로 짜보면 좋습니다.
고1인데도 이렇게 방향을 잡아가고 있다는 건 정말 뛰어난 자기 주도성이에요!
생기부에서도 진로 연계성을 아주 자연스럽게 보여줄 수 있는 주제예요.
답변채택부탁드립니다